본문 바로가기
systrader79 칼럼/실전 투자 전략

실전 투자 전략 (33) - MPAA 전략 stress test

by systrader79 2017. 2. 28.
728x90
반응형
728x170

 지난 포스팅 (클릭)을 통해 단순한 추세 기반 전략만으로는 실전에서 살아남기가 힘들다는 사실을 확인한 바 있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MPAA 전략 같이 추세 추종 포트폴리오 전략의 단점을 구조적으로 개선시킨 장치를 마련해야만 실전 투자에서 안정적으로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최적화를 배제하고 구조적인 안정성을 보강한 MPAA 전략의 여러 파라미터 값을 변화시켜보고 성과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대략적으로 확인함으로써, 과최적화가 얼마나 빛좋은 개살구인지, 그리고 단순무식해보이는 최적화하지 않은 전략이 실제 투자에서는 얼마나 robust한 전략인지 확인해보겠습니다. 


1. MPAA 전략 stress test

  MPAA 전략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다음 링크를 순서대로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MPAA 전략 (1)

  MPAA 전략 (2)

  MPAA 전략 (3)

  여기서는 MPAA 전략의 3단계 각 과정의 파라미터 값에 변화를 주면서 퍼포먼스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MPAA 전략의 3단계 및 각 단계의 조절 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단계 : 상대 모멘텀 상위 n 개 선정 

           조절 변수 : 평균 모멘텀 계산 로직 (디폴트 1~12개월 평균 모멘텀)

 2 단계 : 평균 모멘텀 스코어 현금 혼합

           조절 변수 : 평균 모멘텀 스코어 계산 로직 (디폴트 1~12개월 평균 모멘텀 스코어)

 3 단계 : 자산군 배분 후 시스템 스탑 (수익 곡선 모멘텀)

           조절 변수 : 수익 곡선 평균 모멘텀 스코어 (디폴트 1~6개월 평균 모멘텀 스코어)

  

 디폴트 값은 위와 같고 투자 유니버스 및 벤치마크 조건은 지난 포스팅(클릭) 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현금 비중은 50% 고정, 모멘텀 상위 종목 선정 개수는 각 자산군 상위 30%, 위험 자산 : 안전자산(장기채권) 비중 배분은 1:1로 고정하겠습니다.

 

2. 디폴트 조건 시뮬레이션 결과

 


3. 평균 모멘텀 계산 방식 변경 


<1~6 개월 평균 모멘텀>



<3~8 개월 평균 모멘텀>



<6~11 개월 평균 모멘텀>



<9~14 개월 평균 모멘텀>


 전체적인 CAGR은 여러 연구에서 이미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긴 타임 프레임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입니다. 하지만, MDD 역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CAGR/MDD 값은 전반적으로 큰 차이는 없습니다

 결론적으로, 상대 모멘텀 상위 종목 선정 기준으로 이용되는 절대 모멘텀 계산시 절대적인 기준을 찾아 헤맬 필요가 없고 여러 타임 프레임에 분산된 평균 모멘텀 값을 이용하면 시장의 변화에도 크게 영향 받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단일한 장기 타임 프레임 값 하나를 정하는 것보다는 아주 짧은 기간부터 상대적으로 가장 긴 구간의 모든 값을 다 포함하는 것이 구조적으로 이상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실 상대 모멘텀 상위 종목을 계산하는 방식을 이렇게 달리 해도 퍼포먼스에 큰 차이가 없는 이유는 이 계산 로직보다도 평균 모멘텀 스코어에 의한 현금 혼합 전략에 좌우된 면이 훨씬 더 큽니다. 

그렇다면 이번에는 평균 모멘텀 계산은 디폴트인 1~12개월 평균값으로 정한 상태에서 평균 모멘텀 스코어 계산 방법만 바꾸어서 시뮬레이션 해보겠습니다. 


4. 평균 모멘텀 스코어 계산 방식 변경

 앞서 보신 바와 같이 여러 타임 프레임으로 다 나누어도 비슷한 결과가 나오므로 상대적으로 짧은 프레임과 가장 긴 프레임 2가지로 나누어서 시뮬레이션 해보겠습니다. 

<1~6개월 평균 모멘텀 스코어 적용>


<6~11개월 평균 모멘텀 스코어 적용>


 이렇게 바꿔보고 저렇게 바꿔봐도 퍼포먼스에는 큰 차이가 없지요?

 이렇게 파라미터 값을 짧게, 길게 아무리 바꿔봐도 퍼포먼스에 큰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은 전략이 robust함을 의미합니다. 

 마지막 단계로 수익 곡선 모멘텀을 계산하는 방식을 변경하는 방법도 있는데 사실 이것도 테스트해보면, 위와 비슷하게 큰 차이가 없게 나옵니다. 

 즉, MPAA 전략의 파라미터값은 디폴트 값과 아무리 다르게 설정해도 투자 성과에는 큰 영향이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시스템은 지표값 하나에도 상당히 민감하게 반응하고 투자 성과에도 크게 영향을 받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MPAA 전략은 무엇이 다른 것일까요?

 정답은 분산입니다. 

 MPAA라는 전략은 사실 단일 전략이지만, 이 전략의 내부에는 상당히 많은 종류의 분산 로직(자산군 분산, 자산간 분산, 타임 프레임 분산, 수익곡선 모멘텀 타임 프레임 분산)이 내포된 데다가 현금의 비율을 강제적으로 적용하여 시스템이 깨지는 경우에도 리밸런싱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구조적인 장치가 내재되어 있기 때문에 이런 결과를 보여줍니다. 지난 번에 살펴본 IVY portfolio의 로직과 차별되는 핵심적인 요소로 볼 수 있습니다. 

 단순히 시스템의 성과가 좋다고 과최적화로 치부할 수는 없습니다. 그것이 데이터 마이닝에 의한 가짜 효과인지, 진짜로 시스템이 안정적이어서인지는 전략의 구조를 잘 살펴보면 알 수 있습니다. 

 MPAA 라는 전략 하나를 정말 여러 차례 우려먹었는데요, 이렇게 여러번 소개한 이유는 이 전략이 뭐 엄청나게 대단해서가 아니고, 실제 투자에서 살아남는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서는 단순하지만 여러 구조로 분산을 시켜야 함을 강조하기 위해서입니다. 

 이것이 시스템 디자인의 핵심이고 이후에 지속적으로 소개할 다양한 매매 기법에도 이런 거시적인 원리가 그대로 적용됩니다. 

 MPAA 가지고 하도 우려먹어서 이제는 더이상 나올 건덕지도 없군요~ 이번 포스팅을 마지막으로 MPAA 로직은 그만하고, 앞으로는 새로운 전략을 알아보겠습니다. 

 마지막으로, MPAA 전략의 안전 자산군에 10년 만기 국고채를 20년 만기로 대체하고 현금 비중을 극소화한 공격적인 투자 방법으로 시뮬레이션 한 결과를 확인하고 마무리하겠습니다.

 


나가시기 전에 블로그 글 맨 하단의 배너 광고를 한 번만 클릭해주시면 더 좋은 콘텐츠를 만드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


1. 블로그에서 다룰 급등주 자동 매매 프로그램을 공개적으로 만들고 있습니다. 관심 있으신 분은 여기를 클릭하셔서 회원가입해 주세요~


2. 본 블로그에 소개된 시황과 무관한 절대 수익 전략을 이용한 ETF 투자 상품을 출시하려고 합니다.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클릭하시기 바랍니다


3. 여러분의 인생이 걸린 너무나도 중요한 소식! --- > 여기를 클릭하세요!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