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ystrader79 칼럼/투자의 기초

주식 투자에서 손실을 줄이는 방법 3가지 - 서로 다른 자산과의 혼합 (5)

by systrader79 2014. 5. 22.
728x90
반응형

 

바로 지난 포스팅(클릭) 에서


 "움직임이 서로 반대 방향인 놈을 반반씩 분산 투자하면 결국 한쪽에서는 수익이 나지만, 다른 쪽에서는 손실을 보는 것이므로, 리스크는 줄어들어 손실은 안 볼지 몰라도, 결국 수익도 못보는 거 아니냐?"

 손실을 안보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렇다고 수익도 안나면 차라리 안하는 거랑 뭐가 달라? "

 

이런 의문을 제기하셨던 것 기억나시나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과연 이 의문이 타당한 것인지 파헤쳐 보기로 하겠습니다. 

 물론, 주식과 채권 같이 방향이 서로 반대로 움직이는 자산에 분산투자하면, 단기적으로는 서로의 손익이 상쇄되는 것이 맞습니다.

 하지만 여러분이 간과하고 있는 것은, 이 두 자산 모두 '장기적'으로는 우상향한다는 것입니다.

 왜 이 두 자산은 장기적으로는 우상향할까요? 

 답은 간단합니다. 주식이라는 자산은 경제가 성장하고 기업이 성장함에 따라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게 되고, 이러한 이윤을 배당이라는 형태로 투자자에게 돌려주고, 기업 활동에 필요한 여러 재화들은 결국 장기적으로 인플레이션이 반영되어 있으므로 경제와 나라가 망하지 않고 성장한다면, 자본시장에서 주가는 '장기적'으로는 우상향 하게 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채권은 어떨까요? 채권은 채권을 발행하는 단체(국채라면, 대한 민국 정부가 되겠죠?)에서 원금과 이자 지급을 '보장'한 문서입니다. 국채는 우리나라 정부에서 지급을 보증했기 때문에 우리나라 정부가 망하지 않는 이상 이자를 떼먹힐 가능성은 0%입니다. 확정된 이자 수익이 있으므로 시간이 경과하면 장기적으로는 채권 가격도 상승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종합해서, 단기적으로는 움직임이 반대이지만, 장기적으로는 모두 우상향하는 자산에 분산투자한다는 것의 개념을 알아보기로 합시다. 

 

하지만 우선 이에 앞서 여러분이 오해하고 있는,

 '어차피 방향이 서로 반대이면 손익이 상쇄되어 결국 수익도 이득도 못보고 쌤쌤 아니냐?' 

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여러분이 생각하시는 그림이 바로 이거죠? 한 놈이 오를 땐 다른 한 놈이 떨어져서 결국 손익은 평균적으로 0 이네요.

 실제로 우리나라 코스피 선물 지수와 10년 만기 국채 선물 지수를 비교해 볼까요? HTS 에서 조회되는 10년 만기 국고채의 움직임을 비교해보겠습니다. 

 



 

 자...역시 설명드렸던대로 전체적인 움직임의 방향성이 반대인 것을 확인할 수 있죠? 여기서 보시는 움직임은 최근 1년 남짓의 '단기적인' 움직입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얼핏 생각하면 앞서 제기한 의문이 정당한 것처럼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사실은 주식이나 채권과 같은 투자자산은 장기간에 걸쳐 보면 상승한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주식과 채권이 장기에 걸쳐 상승한다는 얘기는 수년-수십년 단위의 스케일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고작 며칠 또는 몇달 혹은 1-2년의 기간만 똑 떼어놓고 살펴봤을 때 일시적으로 안올랐다고 상승 안하네라고 판단하면 안된다는 것이지요. 시장의 사이클에서 몇 달 혹은 몇 년동안 시장이 하락하거나 횡보하는 경우는 대단히 흔합니다.


그렇다면, 실제적인 주식과 채권의 '장기적'인 움직임을 현실적으로 도식화하면 어떻게 될까요? 바로 이렇게 됩니다.



 



 

 보시는 바와 같이 단기적인 관점에서만 접근하면 수익과 손실이 서로 상계되지만, 이 두 자산 모두 장기적으로는 우상향하는 속성을 가지므로, 평균적으로는 장기적으로 양의 수익이 발생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됩니다.

  단기적인 관점에서의 시장의 급변이 있어도 서로 다른 방향으로 완충하기 때문에 손실의 가능성은 차단하면서도, 장기적으로는 두 자산의 평균적인 수익은 얻는 것이지요. 바로 이것이 상관계수가 낮은 자산 간의 분산투자의 위력입니다. 


 상관성이 낮은 자산간의 분산 투자의 또다른 장점은 '장기적'으로는 손실보다는 수익이 날 가능성이 크는 것입니다. 

 왜일까요? 그 이유는, 오르는 데에는 한계가 없지만, 떨어지는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자산을 동시에 보유했다고 칩시다. A라는 자산이 오를 때 B는 떨어지고 B가 오를 때 A는 떨어진다고 칩시다.

 오르는 자산은 100%가 오를 수가 있고 200%도 오를 수 있으며, 2000%가 오를 수도 있죠?

 하지만, A라는 자산이 아무리 2000%가 오른다고 하더라도, B라는 자산은 절대로 -2000%로 떨어질 수가 없죠? 아무리 떨어져도 -100%손실 이상은 절대로 날 수가 없습니다. 투자자금을 다 날렸다는 것은 100% 손실을 의미하기 때문이지요. 빚을 내서 투자하지 않는 이상 -100% 보다 큰 손실은 불가능하지요? 

 따라서, A라는 자산이 10% 오를 때, B에서는 -20%의 손실이 나서 포트폴리오에서 손실이 나는 경우는 있을지라도, A라는 자산에서 30% 수익이 났는데, B에서 -200%의 손실이 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이죠. 하지만, A에서 200% 수익이 나고, B에서 -30% 손실이 나는 것은 가능하다는 것이죠.

 

따라서, 전자의 경우처럼 일시적으로 하락하는 자산의 폭이 상대적으로 커서 일시적인 포트폴리오의 손실이 발생하는 것은 흔히 발생할 수 있지만, 바로 밑에서 설명드린 것처럼 손실이 난 자산의 폭이 무한대로 커질 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일시적으로 포트폴리오의 손실이 나는 경우도 많이 겪지만, 근본적으로 수학적으로  올라가는 자산의 수익은 무한대이지만,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는 손실이 나는 자산의 손실폭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보면 수익곡선은 우상향하게 되어 있는 것이죠. 

 바로 여기서 A와 B의 관계가 바로 주식과 채권의 관계이죠. 대단히 이상적인 투자 조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만일 여기서 A와 B가 삼성전자와 LG 전자라면 그래프가 어떻게 바뀔까요? 비슷한 방향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오를 땐 같이 오르고 떨어질 때는 비슷하게 떨어지므로, 분산을 해도 주식과 채권의 조합처럼 리스크가 이상적으로 줄어들지는 못하겠죠? 

 머리 속으로 그림을 그려보시기 바랍니다. 수익이 날 땐 크게 나지만, 손실이 날 때도 크게 나기 때문이죠...이렇게 비슷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자산끼리는 그래서 분산투자로서의 의미가 줄어드는 것입니다.

 

이제 모든 개념이 확실하고 명쾌하게 이해가 되시죠?

의미 있는 분산투자의 조합은, '장기적으로는 상승하지만, 단기적으로는 움직임이 서로 반대이고 상관계수가 낮은 종목군'들로 구성하는 것이다.

 

 최악의 경우는 어떤 것일까요? 장기적으로는 하락하는데, 단기적으로 상관관계까지 높은 경우가 최악이 되겠죠?

 그런 병신같은 투자를 하는 미친놈이 다 있나라고 혹시 생각하셨을지 모르겠지만, 사실 거의 절대 다수의 개미 투자자들이 이런 방법으로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지수가 폭락하거나 계속 하락하고 있는 장에서 여러 주식 종목만 들고 있는 것이지요.

물론 주식은 장기적으로는 상승하는 것이니까 이 상황은 장기적으로는 상승하지만 단기적으로는 상관계수가 높은 종목에 투자하는 것이 아니랴라고 반문하실지 모르겠지만, 아마 지금 제 글을 보고 계시는 투자자들 대부분이 단기 스윙 내지는 길어 봐야 몇 달 간격의 단, 중기 투자자가 대부분일 것으로 생각합니다.

 이런 관점에서 본다면, 장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상황은 여러분의 매매 스케일 상에서는 '장기'에 해당하는 것이지요. 이런 상황에서 상관계수가 높은 주식 종목들로만 분산하니(물론,어느 종목 하나에 몰빵한 것보다는 그나마 낫겠습니다만) 분산투자가 아무런 의미 없어지는 것이지요. 예를 들자면 이런 것입니다.

 



 

이제 명쾌하게 이해가 가시나요? 


그러면 다시 앞서 제시했던 이상적인 분산투자의 모델을 다시 한 번 복습해봅시다.

 



 

 단기적으로는 움직임이 반대라서 리스크를 상쇄하지만, 장기적인 수익으로 인해 평균적인 수익 곡선도 우상향합니다. 그런데, 여기서 한가지 잔기술을 부리면 마법과 같이 리스크는 줄이면서도 수익률은 더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그것은 일정 주기로 이 두 자산의 비율을 동일하게 맞추는 것입니다. 


 만일 위의 그래프가 1달 단위로 그려진 것이라고 가정을 해봅시다. 그렇다면, 이 투자 방법은 초기에 주식과 채권을 반반으로 섞은 다음 13개월이 지날 때까지 손가락 하나 까딱안하고 가만히 방치했을 때의 수익곡선이 되겠죠?

 그런데, 이 때, 1달 간격으로 주식과 채권의 비중을 1:1로 다시 맞추면 어떻게 될까요?

 매달 주식과 채권의 비중을 동일하게 맞춘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만일 첫 달에 주식에 50만원, 채권에 50만원을 동일하게 투자했는데 다음달 주식은 70만원으로 올랐고 채권은 30만원으로 떨어졌다고 가정합시다. 

그 다음달에 주식과 채권은 다시 50만원으로 회귀했다면, 그냥 단순히 보유만 했을 경우 수익률은 0%가 되겠죠? 초기 투자 비용도 100만원이고, 2달이 지난 시점에서도 100만원이니까요.

 

그런데 만일 주식이 70만원으로 오르고 채권이 30만원으로 떨어졌을 때 비중을 다시 1:1로 맞추면 어떻게 될까요?

주식에서 수익이 난 20만원을 인출해서 채권에 추가하면 1:1이 되겠죠? (70-20 = 30 + 20 =50)

그 다음달에는 어떻게 됩니까? 주식은 70만원에서 50만원으로 약 -30% 가량 하락을 했고, 채권은 30만원에서 50만원으로 66% 상승을 했군요..

이 때 전달에서 주식에서는 20만원을 인출해서 채권을 50만원으로 만든 상황이므로, 다음달 주식의 비중은 50만원 X 0.7 = 35만원이지만, 

채권은 20만원이 추가되어 다시 50만원이 된 상황에서 66%가 올랐으니 50 X 1.66 = 83만원이 되죠. 결국 가만히 냅뒀으면 주식과 채권의 가격은 원상복구되어 수익이 발생하지 않았는데 이렇게 비중을 똑같이 맞춰주는 작업을 해 주면 원금 100만원이 83+35=118만원으로 18% 수익이 발생하게 됩니다. 

신기하죠? 가격은 원상 복구됐는데 추가적인 수익이 난 것이죠.

 

이처럼 각 자산의 비중을 동일하게 유지하는 포트폴리오를 동일비중 포트폴리오라고 하고, 고평가된 자산의 일부를 매도해서 저평가된 자산을 매수하여 포트폴리오 자산간의 비중을 조절하는 것을 포트폴리오 리밸런싱이라고 합니다. 

포트폴리오 리밸런싱을통해 수익이 나는 이유는, 고평가된 자산을 일부 매도(차익 실현)하여 저평가된 자산에 추가불입(저점 추불)하는 이유 때문입니다.  일종의 고점 매도와 저점 매수효과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지요.

 



 

<단순 buy and holding>

 



 

<주기적으로 리밸런싱 한 경우>

 

 위에서 보는 것처럼 리밸런싱을 해 주는 경우 이러한 효과 때문에 단순히 보유하고 방치한 것보다 장기적으로 추가적인 수익이 발생합니다.

 MIT에서 21세의 나이에 수학박사 학위를 따고 현대 디지털 컴퓨터와 회로 이론을 정립한 클로드 섀넌은, 

 주식 시장에서 방향성의 예측은 불가능하며, 따라서, 상승할 확률과 하락할 확률은 동일하게 50%라고 가정한 상황에서 할 수있는 최고의 방법은 '주식과 현금' 을 1:1로 나누어 주기적으로 리밸런싱 하는 것이라고 하였습니다. 

 즉, 투자 자산은 복리로 움직이므로 복리 효과를 최대로 하기 위해서는 산술 평균이 아닌 기하평균을 최대로

하는 비율이 최적의 비율인데, 상승과 하락의 방향성은 예측이 불가능하므로, 실제적인 확률은 50%로 가정한다면, 수학적으로기하 평균이 최대가 되는 자산의 배분비를 1:1로 배분하는 것이라고 하였습니다. 섀넌의 이론은 이후 켈리의 법칙의 모태가 되었죠....수학적인 원리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증권 분석의 전설적인 대가 벤자민 그레이엄 또한 이러한 이론에 입각하여 투자자가 할 수 있는 최고의 방법은 주식과 채권을 1:1 로 분산하여 보유하는 것이라고 하였으며 이를 formula plan이라고 명명한 바 있습니다.

 

 즉, 장기적으로 우상향하지만 단기적으로는 움직임이 반대인 종목에 분산투자하면 리스크는 줄인 상황에서 안정적인 수익을 얻을 수 있는데, 여기에 추가적으로 리밸런싱의 과정까지 더해주면 더 추가적인 알파 수익을 노릴 수 있다는 것이지요. 

 리밸런싱의 효과는 언제 극대화 되겠습니까? 자산 간의 움직임의 방향성이 변화가 심한 횡보가 지속될 때 효과가 극대화 되겠죠? 

만일 주식이 10년 내내 계속 오르기만 하고 채권은 계속 떨어지기만 한다면, 이럴 때는 그냥 1년 단위로 리밸런싱하는 것보다 그냥 단순 보유가 더 수익이 크겠죠..

즉, 리밸런싱의 효과는 추세장보다는 횡보장에서 효과가 큽니다.

일반적으로 시장은 2/3가 비추세 내지는 횡보장이기 때문에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면 이런 리밸런싱을 한 것이 안 한것에 비해 더 큰 수익과 적은 리스크를 보여주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이론을 바탕으로 실제 시장에서 투자를 했을 경우 어떤 수익이 날 지 궁금하시죠?

 다음 포스팅(클릭)에서 확인해봅시다! 



나가시기 전에 블로그 글 맨 하단의 배너 광고를 한 번만 클릭해주시면 더 좋은 콘텐츠를 만드는데 큰 힘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


1. 네이버 카페 '실전주식투자 연구소' (클릭) 으로 오시면, 본 블로그의 모든 내용을 순서대로 확인하실 수 있고, 다양한 실전 투자 정보도 얻을 수 있습니다~


2. 닥터퀀트의 단기 트레이딩 강좌가 뉴지스탁에서 진행 중입니다!

  자타가 공인하는 젠포트 최고의 전략가, 닥터퀀트님의 강좌에서는 그동안 공개하지 않았던 실전 트레이딩 전략 무려 30개와 주기적인 업데이트 강의가 제공됩니다.

<닥터 퀀트의 단기 트레이딩 강의 (클릭)>


3. 'systrader79의 주식 단기 매매 전략 온라인 강좌'가 뉴지스탁에서 진행 중입니다!

   개별 주식을 이용한 단기 매매 기법, 뉴지스탁을 통한 완전 자동 투자 매매 구현에 관한 폭넓은 노하우를 다루고 있으니, 많은 성원 부탁드립니다~

   첫 번째 강의는 수강 신청없이 무료로 시청 가능합니다 (아래 링크 클릭 --> 제일 첫 방송 클릭)

     강의 소개 (클릭)

     * 강의 바로가기 (클릭)



4. 여러분의 인생이 걸린 너무나도 중요한 소식! --- > 여기를 클릭하세요!


systrader79@gmail.com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