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체 글736 주식 투자에서 손실을 줄이는 방법 3가지 - 장세에 따른 주식 비중의 조절 (추세추종) (7) 지금까지 살펴본 내용을 복습하고 넘어가겠습니다. 우선, 주식 투자로 안정적인 수익을 내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상식과 달리 어떻게 수익을 낼지가 아니라 어떻게 손실을 줄일까에 집중을 해야한다고 강조한 바 있습니다. 그 이유는 세가지라고 했지요? 유튜브 프리미엄 월 1만원 할인받고 월 4000원에 이용하는 방법 올해 5월부터 월 8000원 정도이던 유튜브 프리미엄 요금이 15000원 정도로 인상됩니다. 각종 OTT 서비스, ChatGPT 같은 서비스들이 늘어나다보니 이런 거 몇 개만 이용하더라도 월 이용요금이 5만원을 stock79.tistory.com 첫번째 이유는, 미래를 정확하게 예측하지 않는 한 투자에서 손실을 보는 것은 불가피하기 때문에 투자 과정에서 손실을 보는 것은 극히 자연스러운 일이므로 손실을.. 2014. 5. 22. 주식 투자에서 손실을 줄이는 방법 3가지 - 장세에 따른 주식 비중의 조절 (추세추종) (8) 지난 포스팅(클릭)에서는 상식적으로 주가가 떨어질 때 사서 오를 때 팔면 수익이 날 것 같은데 실제로는 왜 그런 방법이 장기적으로는 구조적으로 망할 수 밖에 없는 투자방법인지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그 이유는 주가를 포함한 모든 종류의 투자자산에는 '추세'라는 속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추세를 거스르는 방식으로 올라갈 때 팔고, 떨어질 때 사는 식의 투자는 구조적으로 '수익은 철저히 제한'하고, '손실을 무제한으로 방치'하는 구조이기 때문이라고 확인한 바 있지요. 따라서, 일반적인 상식과는 반대로 오를 때 사서, 떨어질 때 파는 '추세 추종'의 매매를 해야만 '손실을 제한'하고 '수익을 극대화'하여 장기적으로 안정적이면서도 큰 수익을 얻을 수 있다고 했습니다. '추세'라는 것은 어떤 정해진 규칙이 있는 .. 2014. 5. 20. 시장을 이기는 방법 (9) 이전 포스팅(클릭)에서는 왜 특정 주식 한 두 종목을 고르는 것보다 다양한 종목에 분산투자하는 것이 수학적으로 손실은 줄이면서도 수익은 높일 수 있는지 확인한 바 있습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일반 투자가가 가장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투자 방법은 다양한 주식 종목을 포트폴리오로 편입하고 있는 ETF에 투자하는 것이라고 결론을 내린바 있지요. 일반적으로 ETF를 이용해서 주식에 투자하는 것은 KOSPI200과 같은 종합 주가 지수를 추적하는 종목에 투자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무수한 펀드 매니저들이 비싼 보수를 받고, 복잡한 분석을 통해 운용을 해도 장기간에 걸쳐 시장 지수를 이기는 경우가 얼마 되지 않는다는 이런 투자 방법의 유용성을 입증하는 실례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지수에 투자하는 것만이 과연 최.. 2014. 5. 19. 주식: 채권: 현금 모델 포트폴리오 (9) 만일 여러분이 이 글을 처음 읽으신다면, 이 글을 보시기 전에 반드시 '여기'를 클릭하셔서 투자의 기초 이론들을 순서대로 먼저 공부하시길 강력히 요청합니다. 왜냐하면, 이 내용을 알고 있지 않으면 왜 이런 식의 투자를 해야하는지 이해하기 어려울 수도 있고, 해소되지 않은 궁금증 때문에 잘 정립된 투자 규칙을 흔들림없이 오랜 기간 유지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 주식:채권:현금 혼합 평균 모멘텀 비중 분산투자 전략(전략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링크를 클릭하시기 바랍니다.) 2016년 1월 모델 포트폴리오 - 주식 (TIGER200 ETF) : 17% - 현.. 2014. 5. 19. 실전 투자 전략 (1) - buy and hold 여러분이 제가 제시했던 투자의 기초 이론들을 모두 이해하셨다면, 지금부터는 이런 모든 이론들을 종합해서 실제로 여러분이 직접 여러분의 소중한 자산을 투자할 수 있는 실전 투자 모델을 함께 만들어보겠습니다. 만일 여러분이 이 글을 처음 읽으신다면, 이 글을 보시기 전에 반드시 '여기'를 클릭하셔서 투자의 기초 이론들을 순서대로 미리 공부하시길 강력히 요청합니다. 왜냐하면, 이 내용을 알고 있지 않으면 왜 이런 식의 투자를 해야하는지 이해하기 어려울 수도 있고, 해소되지 않은 궁금증 때문에 잘 정립된 투자 규칙을 흔들림없이 오랜 기간 유지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투자의 기초적인 이론을 이해하셨다는 전제 하에, 지금부터 함께 살펴볼 투자 모델들은 여러분이 실제로 투자에 바로 써먹을 수 있는 내용이.. 2014. 5. 19. 주식: 채권: 현금 모델 포트폴리오 (8) 만일 여러분이 이 글을 처음 읽으신다면, 이 글을 보시기 전에 반드시 '여기'를 클릭하셔서 투자의 기초 이론들을 순서대로 먼저 공부하시길 강력히 요청합니다. 왜냐하면, 이 내용을 알고 있지 않으면 왜 이런 식의 투자를 해야하는지 이해하기 어려울 수도 있고, 해소되지 않은 궁금증 때문에 잘 정립된 투자 규칙을 흔들림없이 오랜 기간 유지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 주식:채권:현금 혼합 평균 모멘텀 비중 분산투자 전략(전략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링크를 클릭하시기 바랍니다.) 2015년 12월 모델 포트폴리오 - 주식 (TIGER200 ETF) : 15% - .. 2014. 5. 18. 실전 투자 전략 (2) - buy and hold (적립식) 여러분이 제가 제시했던 투자의 기초 이론들을 모두 이해하셨다면, 지금부터는 이런 모든 이론들을 종합해서 실제로 여러분이 직접 여러분의 소중한 자산을 투자할 수 있는 실전 투자 모델을 함께 만들어보겠습니다. 만일 여러분이 이 글을 처음 읽으신다면, 이 글을 보시기 전에 반드시 '여기'를 클릭하셔서 투자의 기초 이론들을 순서대로 미리 공부하시길 강력히 요청합니다. 왜냐하면, 이 내용을 알고 있지 않으면 왜 이런 식의 투자를 해야하는지 이해하기 어려울 수도 있고, 해소되지 않은 궁금증 때문에 잘 정립된 투자 규칙을 흔들림없이 오랜 기간 유지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 2014. 5. 18. 문병로 교수의 거꾸로 증시 이론 - (2) PBR·PER은 거짓말 안 한다 PER 50배ㆍPBR 7배에 베팅…승률 17% '룰렛게임' 하는 셈입력 2011-10-27 17:42:37 | 수정 2011-10-28 11:05:26문병로 교수의 거꾸로 증시 이론 - (2) PBR·PER은 거짓말 안 한다 '거품 경보' 무시하지 말라 PBR 7배 이상 3200회 분석, 1년 뒤 주가하락 78%…비이성적 급등 후 급락 따라 안철수연구소의 주가가 난리다. 최대주주인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의 정치적 부상만큼이나 뜨겁다. 지난 24일 현재 안철수연구소의 시가총액은 1조원이다. 장부가치는 1300억원.주가순자산비율(PBR)은 7.7배에 이른다. 장부가치의 7.7배만큼 시장에서 평가받고 있다는 얘기다. 최근 1년간 순이익(173억원)을 기준으로 한 주가수익비율(PER)은 58배다. 안.. 2014. 5. 18. 시장을 이기는 방법 (10) 지난 포스팅 (클릭) 에서는 시장 지수 대비 초과 수익을 낼 수 있는 다양한 전략이 있음을 확인한 바 있고, 그 전략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동일 비중 포트폴리오 전략 - 종목 비중을 시가 총액에 비례해서 구성하지 않고 동일한 비중으로 구성 2. 저변동성 포트폴리오 전략 (Low volatility) - 주가의 변동성(등락폭)이 적은 종목만 선별하여 포트폴리오 구성 3. 저베타 포트폴리오 전략 - 종합주가지수와 상관성이 낮게 움직이는 종목만 선별하여 포트폴리오로 구성 4. 변동성 조절 전략 - 주가 지수의 변동성의 변화에 따라 주식 투자 비율을 조절하는 전략 - 변동성이 큰 종목에는 적게 투자, 변동성이 작은 종목에는 많이 투자 5. 모멘텀 전략 - 주가 혹은 이익이 강하게 증가하는 종목만 선별하여 .. 2014. 5. 18. 주식: 채권: 현금 모델 포트폴리오 (7) 만일 여러분이 이 글을 처음 읽으신다면, 이 글을 보시기 전에 반드시 '여기'를 클릭하셔서 투자의 기초 이론들을 순서대로 먼저 공부하시길 강력히 요청합니다. 왜냐하면, 이 내용을 알고 있지 않으면 왜 이런 식의 투자를 해야하는지 이해하기 어려울 수도 있고, 해소되지 않은 궁금증 때문에 잘 정립된 투자 규칙을 흔들림없이 오랜 기간 유지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 주식:채권:현금 혼합 평균 모멘텀 비중 분산투자 전략(전략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링크를 클릭하시기 바랍니다.) 2015년 11월 모델 포트폴리오 - 주식 (TIGER200 ETF) : 17% - .. 2014. 5. 17. 실전 투자 전략 (3) - 주식:현금(또는 채권) 1:1 혼합 전략 여러분이 제가 제시했던 투자의 기초 이론들을 모두 이해하셨다면, 지금부터는 이런 모든 이론들을 종합해서 실제로 여러분이 직접 여러분의 소중한 자산을 투자할 수 있는 실전 투자 모델을 함께 만들어보겠습니다. 만일 여러분이 이 글을 처음 읽으신다면, 이 글을 보시기 전에 반드시 '여기'를 클릭하셔서 투자의 기초 이론들을 순서대로 먼저 공부하시길 강력히 요청합니다. 왜냐하면, 이 내용을 알고 있지 않으면 왜 이런 식의 투자를 해야하는지 이해하기 어려울 수도 있고, 해소되지 않은 궁금증 때문에 잘 정립된 투자 규칙을 흔들림없이 오랜 기간 유지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 2014. 5. 17. 시장을 이기는 방법 (11) 지난 포스팅 (클릭) 에서는 시장 지수 대비 초과 수익을 낼 수 있는 다양한 전략이 있음을 확인한 바 있고, 첫번째로 동일 비중 포트폴리오 전략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지금부터는 두번째 전략인 저변동성 포트폴리오 전략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1. 동일 비중 포트폴리오 전략 - 종목 비중을 시가 총액에 비례해서 구성하지 않고 동일한 비중으로 구성 2. 저변동성 포트폴리오 전략 (Low volatility) - 주가의 변동성(등락폭)이 적은 종목만 선별하여 포트폴리오 구성 3. 저베타 포트폴리오 전략 - 종합주가지수와 상관성이 낮게 움직이는 종목만 선별하여 포트폴리오로 구성 4. 변동성 조절 전략 - 주가 지수의 변동성의 변화에 따라 주식 투자 비율을 조절하는 전략 - 변동성이 큰 종목에는 적게 투자, 변.. 2014. 5. 17. 실전 투자 전략 (4) - 주식:채권 변동성 조절 전략 (risk parity 전략) 여러분이 제가 제시했던 투자의 기초 이론들을 모두 이해하셨다면, 지금부터는 이런 모든 이론들을 종합해서 실제로 여러분이 직접 여러분의 소중한 자산을 투자할 수 있는 실전 투자 모델을 함께 만들어보겠습니다. 만일 여러분이 이 글을 처음 읽으신다면, 이 글을 보시기 전에 반드시 '여기'를 클릭하셔서 투자의 기초 이론들을 순서대로 먼저 공부하시길 강력히 요청합니다. 왜냐하면, 이 내용을 알고 있지 않으면 왜 이런 식의 투자를 해야하는지 이해하기 어려울 수도 있고, 해소되지 않은 궁금증 때문에 잘 정립된 투자 규칙을 흔들림없이 오랜 기간 유지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 2014. 5. 16. 시장을 이기는 방법 (12) 지난 포스팅 (클릭) 에서는 시장 지수 대비 초과 수익을 낼 수 있는 저변동성 포트폴리오 전략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저 변동성 포트폴리오 전략과 개념적으로 유사한 저베타 포트폴리오 전략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동일 비중 포트폴리오 전략 - 종목 비중을 시가 총액에 비례해서 구성하지 않고 동일한 비중으로 구성 2. 저변동성 포트폴리오 전략 (Low volatility) - 주가의 변동성(등락폭)이 적은 종목만 선별하여 포트폴리오 구성 3. 저베타 포트폴리오 전략 - 종합주가지수와 상관성이 낮게 움직이는 종목만 선별하여 포트폴리오로 구성 4. 변동성 조절 전략 - 주가 지수의 변동성의 변화에 따라 주식 투자 비율을 조절하는 전략 - 변동성이 큰 종목에는 적게 투자, 변동성이 작은.. 2014. 5. 16. 주식:채권:현금 모델 포트폴리오 (6) 만일 여러분이 이 글을 처음 읽으신다면, 이 글을 보시기 전에 반드시 '여기'를 클릭하셔서 투자의 기초 이론들을 순서대로 먼저 공부하시길 강력히 요청합니다. 왜냐하면, 이 내용을 알고 있지 않으면 왜 이런 식의 투자를 해야하는지 이해하기 어려울 수도 있고, 해소되지 않은 궁금증 때문에 잘 정립된 투자 규칙을 흔들림없이 오랜 기간 유지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 주식:채권:현금 혼합 평균 모멘텀 비중 분산투자 전략(전략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링크를 클릭하시기 바랍니다.) 2015년 10월 모델 포트폴리오 - 주식 (TIGER200 ETF) : 4% - 현.. 2014. 5. 16. '멘사' 천재들 뭉쳐 15년 주식투자, 결과는… '멘사' 천재들 뭉쳐 15년 주식투자, 결과는…[행동재무학]너무 똑똑해도 주식투자 실패한다머니투데이 강상규 미래연구소M 소장 |입력 : 2013.01.23 14:58|조회 : 441398 기사 소셜댓글(11)폰트크게폰트작게편집자주|주식시장이 비효율적(inefficient)이라 보는 이들은 열심히 노력하면 소위 알파(alpha)라 불리는 초과수익을 얻을 수 있다고 믿는다. 행동재무학(Behavioral Finance)은 시장 참여자들의 비이성적 행태를 잘 파악하면 알파를 구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이미지 크게보기ⓒ그림=강기영 디자이너멘사(Mensa)는 지능지수 (IQ) 상위 2%안에 드는 사람들만 회원으로 가입할 수 있는 천재 클럽이다. 그렇다면 이들 멘사회원 천재들의 주식투자 성과는 어떨까. 아무래도 '똑.. 2014. 5. 16. 실전 투자 전략 (5) - 절대 모멘텀 전략 (1) 여러분이 제가 제시했던 투자의 기초 이론들을 모두 이해하셨다면, 지금부터는 이런 모든 이론들을 종합해서 실제로 여러분이 직접 여러분의 소중한 자산을 투자할 수 있는 실전 투자 모델을 함께 만들어보겠습니다. 만일 여러분이 이 글을 처음 읽으신다면, 이 글을 보시기 전에 반드시 '여기'를 클릭하셔서 투자의 기초 이론들을 순서대로 먼저 공부하시길 강력히 요청합니다. 왜냐하면, 이 내용을 알고 있지 않으면 왜 이런 식의 투자를 해야하는지 이해하기 어려울 수도 있고, 해소되지 않은 궁금증 때문에 잘 정립된 투자 규칙을 흔들림없이 오랜 기간 유지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 2014. 5. 15. 주식:채권:현금 모델 포트폴리오 (5) 만일 여러분이 이 글을 처음 읽으신다면, 이 글을 보시기 전에 반드시 '여기'를 클릭하셔서 투자의 기초 이론들을 순서대로 먼저 공부하시길 강력히 요청합니다. 왜냐하면, 이 내용을 알고 있지 않으면 왜 이런 식의 투자를 해야하는지 이해하기 어려울 수도 있고, 해소되지 않은 궁금증 때문에 잘 정립된 투자 규칙을 흔들림없이 오랜 기간 유지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 주식:채권:현금 혼합 평균 모멘텀 비중 분산투자 전략(전략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링크를 클릭하시기 바랍니다.) 2015년 9월 모델 포트폴리오 - 주식 (TIGER200 ETF) : 0% - 현금.. 2014. 5. 15. 남들이 40% 손실 볼 때 20% 수익 내는 법 (13) 이번 포스팅에서는 같은 종목을 남들과 똑같은 타이밍에 사고 팔았는데, 남들보다 훨씬 더 큰 수익을 낼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심지어 남들이 손실을 볼 때, 여러분은 수익을 볼 수도 있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이 비법은 변동성 조절이라는 방법입니다. 사실 변동성의 중요성에 관한 내용은 제가 이미 여러 군데 (클릭, 클릭, 클릭) 강조한 바가 있고 이전의 내용을 숙지하셨다면 크게 다를 바가 없는 내용이지만, 투자에 있어서 손실을 줄이고 수익을 극대화시키는 아주 중요한 요소이기에 좀 더 기초부터 다뤄보겠습니다. 이 내용은 실제적으로 너무나 중요한 부분임에도 불구하고 너무나 많은 사람들이 그냥 간과해버리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변동성 조절이라는 무기를 잘 다루기 위해서는 먼저 필.. 2014. 5. 15. 남들이 40% 손실 볼 때 20% 수익 내는 법 (14) 지난 포스팅에서는 주가는 수익률의 합이 아닌 곱으로 움직이므로, 정확한 투자 수익률을 구하기 위해서는 수익률을 더해서 평균(산술평균) 내지 말고 수익률의 곱의 평균(기하평균)을 내야 한다는 점을 살펴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연속해서 기하 평균의 속성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어떻게 투자 손실을 최소화하고 수익을 극대화하는 변동성 조절 전략에 이용할 수 있을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기하평균의 성질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기하평균은 수익 또는 손실이 똑같이 연속해서 발생하는 경우 산술평균보다 유리하게 작용합니다. 예) 10% 수익 + 10% 수익 = (1+0.1) x (1+0.1) = 1 + 0.1 + 0.1 + 0.1 X 0.1 = 1.21 10% 손실 + 10 % 손실 = (1-0.1) x (1-0.. 2014. 5. 14. 주식:채권:현금 모델 포트폴리오 (4) 만일 여러분이 이 글을 처음 읽으신다면, 이 글을 보시기 전에 반드시 '여기'를 클릭하셔서 투자의 기초 이론들을 순서대로 먼저 공부하시길 강력히 요청합니다. 왜냐하면, 이 내용을 알고 있지 않으면 왜 이런 식의 투자를 해야하는지 이해하기 어려울 수도 있고, 해소되지 않은 궁금증 때문에 잘 정립된 투자 규칙을 흔들림없이 오랜 기간 유지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 주식:채권:현금 혼합 평균 모멘텀 비중 분산투자 전략(전략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링크를 클릭하시기 바랍니다.) 2015년 8월 모델 포트폴리오 - 주식 (TIGER200 ETF) : 0% - 현금.. 2014. 5. 14. 실전 투자 전략 (6) - 절대 모멘텀 전략 (2) 여러분이 제가 제시했던 투자의 기초 이론들을 모두 이해하셨다면, 지금부터는 이런 모든 이론들을 종합해서 실제로 여러분이 직접 여러분의 소중한 자산을 투자할 수 있는 실전 투자 모델을 함께 만들어보겠습니다. 만일 여러분이 이 글을 처음 읽으신다면, 이 글을 보시기 전에 반드시 '여기'를 클릭하셔서 투자의 기초 이론들을 순서대로 먼저 공부하시길 강력히 요청합니다. 왜냐하면, 이 내용을 알고 있지 않으면 왜 이런 식의 투자를 해야하는지 이해하기 어려울 수도 있고, 해소되지 않은 궁금증 때문에 잘 정립된 투자 규칙을 흔들림없이 오랜 기간 유지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 2014. 5. 14. 실전 투자 전략 (7) - 삼성전자로 300% 수익 내기 지금까지 살펴본 내용을 토대로 한 번 간단한 우량주 장투 모델을 한 번 만들어보겠습니다. 단순한 지식을 조합하면, 우량주로도 아주 쉽게 돈을 벌 수 있습니다. 이 투자 방법의 특징은 6가지입니다. 1. 매월 1회 매매2. 시장 상황과 무관하게 안정적 수익 가능3. 폭락장에도 손실이 크지 않음4.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수익 달성5. 복잡한 기술적 지표나 매매기법이 전혀 필요 없음6. 초등학교 3학년도 따라할 수 있음 이게 정말 가능하냐고요? 가능합니다. 그러면 거두절미하고 그 방법을 알려드리고, 실제 데이터를 보여드리겠습니다. 투자 방법입니다. 1. 마음에 드는 우량주 아무거나 하나 고른다 (예: 삼성 전자) 2. 선정한 종목 매수 (단, 투자 자금의 10%만 매수, 나머지 90%는 단기 국고채 ETF에 투.. 2014. 5. 13. 주식:채권:현금 모델 포트폴리오 (3) 만일 여러분이 이 글을 처음 읽으신다면, 이 글을 보시기 전에 반드시 '여기'를 클릭하셔서 투자의 기초 이론들을 순서대로 먼저 공부하시길 강력히 요청합니다. 왜냐하면, 이 내용을 알고 있지 않으면 왜 이런 식의 투자를 해야하는지 이해하기 어려울 수도 있고, 해소되지 않은 궁금증 때문에 잘 정립된 투자 규칙을 흔들림없이 오랜 기간 유지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 주식:채권:현금 혼합 평균 모멘텀 비중 분산투자 전략(전략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링크를 클릭하시기 바랍니다.) 2015년 7월 모델 포트폴리오 - 주식 (TIGER200 ETF) : 31% - 현.. 2014. 5. 13. 변동성 조절 전략 1 (고정 비율 투자 전략) (15) 지난 포스팅에서는 투자시 변동성이 지나치게 커지면 손실이 커지고 수익이 줄어들기 때문에, 적절한 수준으로 변동성을 조절해야 손실을 줄이고 수익을 높일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변동성을 조절하는 2가지방법 (고정 비율 투자법, 변동성 목표치 조절법) 중 고정 비율 투자법에 대해 먼저 알아보고, 실제 투자에 적용해 보겠습니다. 1. 고정 비율 투자법고정 비율 투자법은 변동성이 큰 자산의 투자 비율을 특정한 고정된 비율로 낮추어 투자하는 방법입니다. 대표적인 예를 들면, 삼성전자로 300% 수익을 내는 방법처럼 주식 투자 비율을 항상 10%로 고정하고 나머지 90%는 현금에 투자하는 류의 방식을 말합니다. 그렇다면 몇 %를 투자해야 하느냐? 여기에는 당연히 정답이 없습니다. 투자자산의.. 2014. 5. 13. 실전 투자 전략 (8) - 저변동성 포트폴리오 투자전략 여기서는 앞서 살펴본 저변동성 포트폴리오 투자 전략을 이용하여 앞서 살펴본 가장 기초적인 평균 모멘텀 비중 분산투자 전략에 적용해보겠습니다. 평균 모멘텀 비중 분산투자 전략 (저변동성 포트폴리오) 투자 기간: 2002.2~2015.5투자 대상: 저변동성 포트폴리오 ETF (Tiger 로우볼), 현금 (단기 국고채, 연 4% 수익 가정)매수 규칙: 주식의 최근 1-12개월 평균 모멘텀 비중 : 현금의 최근 1-12개월 평균 모멘텀 비중 = 주식: 현금 투자 비율매도 규칙: 매달 말 위의 투자 비중을 새로 계산하여 주식: 현금 투자 비중을 조절하여 반복한다. 눈치채셨겠지만, 현금은 미미하게 한달에 0.2~0.3% 정도 지속적으로 이자가 붙어 오르는 자산이므로, 현금의 평균 모멘텀 비중은 1로 계산되겠죠? 따.. 2014. 5. 13. 문병로 교수의 거꾸로 증시 이론- PCR '중앙값' 밑돈 저평가 종목, 6개월 뒤 상승률 16.3% '최고' [문병로 교수의 거꾸로 증시 이론] PCR '중앙값' 밑돈 저평가 종목, 6개월 뒤 상승률 16.3% '최고'한국경제 | 입력 2011.11.24 17:55최종수정 2011.11.25 03:02댓글 0 공유 0작게크게(6) 재무제표의 정보가치 PBR 0.9배 미만 종목 주가상승률 15.9% PER 9.8배 웃돈 종목 6개월 뒤 5.7% 상승 그쳐 한 언론 인터뷰에서 이수만 에스엠 회장에게 위험성 큰 문화 산업에서 성공한 비결을 물었다. 그의 대답은 뜻밖이었다. "시스템화를 통해 우연과 일회성에서 벗어나는 것." 그는 이런 수리적 마인드를 기반으로 한국 최고의 문화 사업가가 되었다. 성공적인 장기 투자의 핵심 원리도 여기에 있다. 2001년부터 10년간 국내 증시에서 주가순자산비율(PBR)의 중앙값은 0... 2014. 5. 12. 변동성 조절 전략 2 (고정 비율 투자 전략 + 모멘텀) (16) 지난 포스팅에서는 고정 비율 투자법을 이용해서 주식의 큰 변동성을 줄여 안정적인 수익곡선을 얻는 방법을 살펴보았습니다. 이 방법은 지극히 단순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시장이 하락하는 구간에서도 비중을 똑같이 유지해야 하므로 그에 인한 손실은 어쩔 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물론, 주식의 비중을 10% 정도로 많이 줄이면, 손실의 폭도 크지 않지만, 그래도 상대적으로는 손실을 보지요? 자 그렇다면 이 고정 비율 투자법의 단점을 어떻게 해결하면 될까요? 이전에 확인했던 평균 모멘텀 스코어 비중 전략(클릭)을 섞으면 됩니다. 평균 모멘텀 스코어 비중 전략은 추세의 강도에 비례하여 투자 비율을 상대적으로 조절하는 방식이지요? (상승세 강하면 주식 비중 증가, 하락세 강하면 현금 비중 증가) 1. 고정 비율 투자.. 2014. 5. 12. 실전 투자 전략 (9) - 상대 강도 모멘텀 비중 분산 투자 전략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전에 살펴본 평균 모멘텀 비중 분산투자 전략(클릭)을 기본으로 상대 강도 전략(클릭)을 결합하여 단순한 주식 : 채권 포트폴리오의 수익성을 더 개선해보겠습니다. 방금 설명한 2가지 전략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필수적이므로, 배경 지식이 없으신 분은 위의 2개 링크를 클릭하셔서 먼저 읽고 오시기 바랍니다. 앞서 살펴본 평균 모멘텀 비중 분산투자 전략(클릭)의 기본 원리는 주식의 추세 강도를 정량한 뒤 추세 강도에 비례하여 현금과 혼합하는 전략이었지요? 즉, 상승 추세가 강하면 강할 수록 주식의 편입 비율을 높이고, 하락추세가 강할수록 주식의 편입 비율을 자동적으로 낮추어 현금과 혼합하는 전략이었습니다. 이 전략의 특징은 기본적으로 현금 비중이 항상 50% 이상으로 유지되므로, 급락장이나.. 2014. 5. 12. 주식:채권:현금 모델 포트폴리오 (2) 만일 여러분이 이 글을 처음 읽으신다면, 이 글을 보시기 전에 반드시 '여기'를 클릭하셔서 투자의 기초 이론들을 순서대로 먼저 공부하시길 강력히 요청합니다. 왜냐하면, 이 내용을 알고 있지 않으면 왜 이런 식의 투자를 해야하는지 이해하기 어려울 수도 있고, 해소되지 않은 궁금증 때문에 잘 정립된 투자 규칙을 흔들림없이 오랜 기간 유지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 주식:채권:현금 혼합 평균 모멘텀 비중 분산투자 전략(전략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링크를 클릭하시기 바랍니다.) 2015년 6월 모델 포트폴리오 - 주식 (TIGER200 ETF) : 22% - 현.. 2014. 5. 12. 이전 1 ··· 21 22 23 24 25 다음 728x90 반응형